티스토리 뷰

개요

SFML 환경 셋팅은 공식 사이트의 튜토리얼 페이지를 참고하면 누구나  쉽게 따라할 수 있다. 

 

윈도우, 리눅스,   mac 등의 플랫폼마다 설정하는 방법이 명시되어 있었다. 

 

검색창에 "SFML Tutorial" 이라고 검색하면 바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튜토리얼 페이지에 바로 이동하고 싶다면 이 링크 를 클릭!

 

SFML 사이트의 튜토리얼 페이지

 

 


SFML 개발 환경 구축하기(CMake 활용)

해당 환경을 구축하기 전에 설치되어야 하는 것

  • Visual Studio (C/C++ 개발 플랫폼)
  • CMake

 

링크를 타고 이동하면 SFML 3.0의 튜토리얼 페이지로 이동되었을 것이다. 

 

필자는 Visual Studio 환경을 구축할 것이다. 

 

하지만 Visual Studio에서 SFML 환경을 셋팅하기에 준비해야 하는 과정이 너무 많다. 
(어려운건 아닌데 정~~~~~말 귀찮다.) 

 

Visual Studio 환경을 정말 쉽게 구축하는 방법이 있는데 바로 CMake를 활용하는 방법이다. 

 

혹시 이 포스트를 보는 이용자 중에서 CMake를 처음 사용하는 사람이 있을 수 있으니 필자가 포스팅한 CMake 설치 방법을 참도하길 바란다. 설치 플랫폼은 Windows OS 이다. 

 

https://kwonvector.tistory.com/49

 

[CMake 공부] CMake 설치 방법 (Windows OS)

CMake 설치 아래의 링크에 들어가서 OS에 맞는 CMake 설치한다.https://cmake.org/download/ Download CMakeYou can either download binaries or source code archives for the latest stable or previous release or access the current development (

kwonvector.tistory.com

 

SFML CMake Project templete  가져오기 

SFML은 손쉽게 개발 환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CMake버전으로 미리 배포를 해 두었다. 

 

해당 배포는 튜토리얼 페이지의 `SFML with the CMake Project Template`  페이지에 들어가면 SFML 깃허브 페이지 링크가 보일 것이다. 

https://github.com/SFML/cmake-sfml-project

 

GitHub - SFML/cmake-sfml-project: Repository template for SFML projects using CMake

Repository template for SFML projects using CMake. Contribute to SFML/cmake-sfml-project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필자는 위 레포지토리를 클론할 것이다. 

 

레포지토리를 클론하기 전에 Git 프로그램이 반드시 필요하니, 해당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아래 링크에 접속하여 설치해 주도록 하자. 

https://git-scm.com/downloads/win 

 

Git - Downloading Package

Download for Windows Click here to download the latest (2.47.1) 64-bit version of Git for Windows. This is the most recent maintained build. It was released on 2024-11-25. Other Git for Windows downloads Standalone Installer 32-bit Git for Windows Setup. 6

git-scm.com

 

Git 설치까지 끝났다면 본인이 설치하고자 하는 파일 디렉토리에 폴더를 새로 생성한다. 

 

 

필자는 문서 디렉토리에 `SFML_Test` 폴더를 생성했다. 

 

폴더 생성 후 터미널을 실행한다.  터미널을 실행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window + x -> 터미널 선택
  2. window + r -> cmd 검색 
  3. 생성한 폴더 우클릭 -> 터미널 선택
1, 2 번 방법으로 터미널을 실행한 이용자는  아래 코드를 추가해주자. 

cd [내가 생성한 폴더의 전체 경로]
#예
cd C:\Users\ycKwon\Documents\SFML_Test

 

위의 SFML Github 페이지에서 클론할 .git 주소를 복사한다.

(초록색 <>Code 버튼을 누르면 아래 이미지 같이 팝업이 뜬다.)

 

실행한 터미널 창에 아래와 같이 명령어를 입력한다. (뭔가 에러를 뱉는다면 인터넷 연결을 체크해보자.)

git clone https://github.com/SFML/cmake-sfml-project.git

 

 

정상적으로 클론이 완료되면 아래 이미지 처럼 결과가 나온다.

git clone 완료

 

생성된 SFML CMake 폴더

 

생성된 폴더에 들어가면 아래 이미지처럼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CMakeLists.txt 텍스트 파일을 열어보자.

 

CMakeLists.txt

 

우리가 여기서 건들건 딱히 없다. 

굳이 수정한다면 project 이름을 내가 원하는 이름으로 변경할 수 있다. 위 텍스트의 2 번째 코드를 수정한다면 

# 나머지 부분은 원형을 유지한다.
project(MyFirstProject LANGUAGES CXX)

 

이렇게 수정할 수 있겠다. 나머지 부분을 고쳤다간 후에 프로젝트 생성 때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으니 가급적 건들지 말자. 

 

다시 터미널로 돌아와서 생성될 프로젝트를 담을 폴더를 생성해보자. 커맨드는 아래와 같다.

# 터미널에 순서대로 입력하도록 하자. (# 들어간 문장은 입력하지 않아도 된다.)
# 생성된 폴더 이동
cd .\cmake-sfml-project\

# 새로운 폴더 생성 
mkdir build

# 새로 생성된 폴더 이동 
cd build

 

여기까지 따라왔다면 CMake를 사용할 준비가 완료됐다. 터미널 창에 아래와 같이 커맨드를 입력하자.

# 프로젝트 생성
cmake ../

 

쬐끔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리고 나면...

 

 

build 폴더 내에 Visual Studio 프로젝트가 생성된 것을 볼 수 있다. 

 

생성된 SFML 프로젝트의 main.cpp 소스코드

 


빌드할 때 참고 사항 

생성된 SFML 프로젝트를 바로 빌드해서 실행해보면 에러창이 뜰 텐데 이는 시작 프로젝트 구성이 설정되어 있지 않아서 발생하는 오류이다. 

 

생성된 SFML 프로젝트 솔루션 뷰

 

 

위 솔류션 뷰의 `Main` 항목을 우클릭 한 후,

 

 

"시작 프로젝트로 설정" 을 해주면 정상적으로 프로그램이 실행 된다. 

'SFML'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T 이론 및 구현 스터디(2)  (0) 2025.03.05
SAT 이론 및 구현 스터디(1)  (0) 2025.02.28
[SFML] 이벤트 다루어보기  (2) 2025.01.10
[SFML] SFML 창(window)을(를) 띄우고 관리까지 해보자.  (0) 2025.01.07
SFML 알아보기  (2) 2025.01.06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8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