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정적 라이브러리 사용의 목적
- 빌드 시간이 단축됨
- 소스코드를 공개하지 않고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음
- 동적 라이브러리에 비해 안전함
- 재사용 가능한 코드를 지속적으로 모아둘 수 있음
- 여럿이 효율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아키텍처를 설계할 수 있음
정적 라이브러리 만들기
1. 정적 라이브러리 프로젝트 생성
2. 소스 트리 정리
3. 기능 구현
4. 빌드 및 확인
정적 라이브러리 배포하기
배포할 때 유의 사항
- 빌드 후, 라이브러리 파일과 헤더파일 두가지를 제공해야 한다.
정적 라이브러리 사용하기
1. 컴파일러 지시자 이용
- 컴파일러에게 코드로 라이브러리 경로를 알려주는 방법
#pragma comment(lib,".lib 가 있는 디렉토리 주소")
#include"../[라이브러리 이름]/[함수].h"
2. Visual Studio 참조 기능 이용
- 하나의 솔루션 파일에 실행 프로젝트, 라이브러리 프로젝트가 있을 때 사용하는 방법
3. 컴파일러 옵션 이용
3.1. 링커 => 일반 => 추가 라이브러리 디렉터리 설정
추가 라이브러리 디렉터리 메크로 코드
$(ProjectDir)\..\..\Build\$(Platform)$(Configuration)\
3.2. 링커 => 입력 => 추가 종속성 설정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C++] 체계적으로 메모리를 관리하는 법 (0) | 2023.09.10 |
---|---|
[C++] 변수 네이밍 작성도 실력이다 (0) | 2023.09.10 |
[C++] 프로젝트 초기 셋업은 어떻게?? (0) | 2023.09.09 |
[C++] 엔디언 변환 클래스 (2,4,8 byte 전용) (0) | 2023.07.24 |
[C++] string 변환 함수 정리 (1) | 2023.07.19 |